본문 바로가기

공자5

<공자(孔子) 가어(家語)> "최고의 덕목, 사랑" "최고의 덕목, 사랑" "지혜로운 자는 자신을 알고, 어진 자는 자기를 사랑한다." '자기를 사랑할 수 없는 사람이, 어찌, 다른 사람을, 그리고, 자기 인생을 사랑할 수 있을까. 스스로 원하는 사람으로서 자기 자신을 사랑할 수 있으려면, 먼저, 자신을 알고, 자신의 현실을 정확히 파악하여, 부족한 점을 채워 나갈 수 있어야 한다. 삶의 최고의 덕목은, 사랑이다.'  유튜브영상바로가기https://youtube.com/shorts/jUEI2L8XS5s?si=xHcZWziSKP43Jcz7 2024. 9. 4.
<공자(孔子) 논어(論語)> "군자와 소인" "군자와 소인" "군자는 평온하고 너그럽지만, 소인은 늘 근심하고 두려워한다." "군자는 덕을 생각하지만, 소인은 편히 머물 곳을 생각하고, "군자는 법을 생각하지만, 소인은 혜택받는 것만 생각한다." "군자는 의리에 밝고, 소인은 이익에 밝다." 군자는 조화를 이루지만, 당파는 이루지는 않고, 소인은 당파를 이루지만, 조화를 이루지는 않는다."  유튜브영상바로가기https://youtube.com/shorts/HY3O4KP1TWQ?si=RLEDRr2tsr1QGG9d 2024. 8. 30.
<공자(孔子) 논어(論語)> "배움" "배움" "배운다는 것은, 불이과(不貳過). 같은 잘못을 두 번 다시 저지르지 않는 능력과, 불천노(不遷怒). 노여움을 남에게 옮기지 않는 능력을 갖추는 데에 있다." '배움이란, 지식을 습득해야 함과 함께, 도덕성을 수양하는 것이다. 그래서, 배운다는 것은, 처음부터 잘 못하는 게 없으면 좋겠지만, 살아가면서 잘못이 없을 수 없기에, 잠시 잘 못된 길에 빠지더라도, 멀리 가지 않고, 돌아올 줄 아는 능력을 익히는 것이고, 남들에게 적어도 피해는 끼치지 않는, 배려의 정신을 실천하는 것이다.'   유튜브영상바로가기https://youtube.com/shorts/B_tU94aQuSA?si=adoPwxt9jqwFzTHp 2024. 8. 24.
<공자(孔子) 논어(論語)> "화가 날 때" "화가 날 때" "화가 날 때에는, 어려움을 생각하라" '화가 나서, 분노를 자제하지 못 했을 때,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고, 그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문제들을 생각하라. 최악의 지경에까지 이르지는 않을 것이다.'  유튜브영상바로가기https://youtube.com/shorts/kwYRfo2W0go?si=q_TKzmPnvyqwNwCT 2024. 8. 22.